대표적으로 쓰이는 것은 Ibus, UIM, Nimf 인데 리눅스를 애초에 한글로 깔면 자동으로 깔려 있던거 같기도 하고… 아니였던 것 같기도 하고…
계속 나날이 발전해 가는 리눅스라서 긴가 민가 한 부분…
일단 한국 리눅스 구름 이나 하모니카 를 설치한다면 자동으로 설치 되어 있는건 확실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일본어도 쓰기 때문에 동시에 쓰기 편한걸 설치해야 하는데 막상 써보니 UIM이 제일 편하더군요.
우분투라면 따로 repository를 추가 할것 없이 설치는 간단히 진행됩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uim uim-mozc uim-byeoru fonts-nanum* fonts-wqy-zenhei
우분투는 uim만 설치해도 byeoru (한글)가 같이 보통 따라오는데, 혹시 몰라서 넣었습니다.
fonts-wqy-zenhei 폰트는 스팀게임을 하는데 한국에 있어서 그런지 서버가 자동으로 한국으로 잡히는데 채팅창에 한글이 안나와서 설치 해줬습니다.
그럼 인제 한/영키 를 눌러서 쉽게 한영을 왔다갔다 할수 있게 만들겠습니다.
sudo xmodmap -e 'remove mod1 = Alt_R'
sudo xmodmap -e 'keycode 108 = Hangul'
sudo nano /usr/share/X11/xkb/symbols/altwin
저기 빨간 부분을 Hangul로 바꿔주고 ctrl+x -> y -> 엔터
그리고 UIM을 실행합니다. 그냥 깔린 앱으로 실해하셔도 되고 못찾으시면 root 계정에서 나와 터미널에서 uim-pref-gtk 치면 나옵니다.
밑에처럼 전부 똑같이 설정 해주세요.
앞에서 한/영 버튼 키를 누르면 바뀌겠끔 해놨으니 key: 이부분에서 한영버튼을 누르고 add 버튼을 클릭 해줍니다.
밑에 Mozc 로 가서 Default input mode 가 Direct input 으로 되있을텐데 이부분을 Hiragana로 바꿔줍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root 계정이 아닌 일반 계정으로
im-config
창이 하나 뜹니다. okay okay 넘어가주고
uim 맞춰주고 리부팅을 하셔도 되고, 로그아웃 했다가 다시 들어가면 적용이 됩니다.
sudo apt update
sudo apt install uim uim-mozc uim-byeoru fonts-nanum* fonts-wqy-zenhei
xmodmap -e 'remove mod1 = Alt_R'
xmodmap -e 'keycode 108 = Hangul'
sudo xterm -e nano /usr/share/X11/xkb/symbols/altwin&
uim-pref-gtk
im-config
'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에서 로그인 실패 시도 모니터링하기 (0) | 2020.12.03 |
---|---|
퍼블릭 클라우드와 IT 대기업, 로우코드 투자 늘리는 진짜 이유 (0) | 2020.11.30 |
리눅스 보안이 윈도우나 맥OS보다 우수한 이유 (0) | 2020.11.26 |
파이썬 창시자 귀도 반 로섬, 마이크로소프트 개발 부서에 합류 (0) | 2020.11.24 |
특수 목적 리눅스 (0) | 2020.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