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 전에 먼저
이 특수 목적의 의한 OS에는 일반적인 데스크탑 환경과는 많이 다르기 때문에 여러 목적과 관계없는 작업을 한다면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는것을 미리 알아두면 좋겠다.
특수 목적에 맞게 모든 프로그램들이 최적화 되어 있으며 그 특수목적에 맞게 응용프로그램들이 전부 설치되어 있는 버젼이다.
밑에 나열되어 있는 특수 목적 리눅스 또한 오픈소스이기에 일반 리눅스에서도 같은 프로그램이 전부 설치가 가능하며, 필요한것만 설치하여 사용하면 된다.
안에 이미 수많은 프로그램들이 제작자의 의해 설정이 되어있으므로
다른 프로그램을 설치시에 버전이 다른 라이브러리를 필요로 할경우
정말 머리 아파지는 상황이 생기기 때문에 특수한 경우 아니고는 이것저것 설치하지 말자…
당장은 괜찮을수 있더라도 나중에 업데이트 할때 꼬여버릴수 있다…
대표적인 흥미로운 몇개만 소개 해보려 한다.
Kali Linux
칼리 리눅스는 해킹과 침투 테스트로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칼리 리눅스는 Offensive Security 의해 개발되었고, 이전에는 백트랙에 의해 개발되었다.
칼리 리눅스는 데비안을 기반으로 한다.
보안과 포렌식의 다양한 분야에서 대량의 침투 시험 도구가 제공된다. 이제 롤링 릴리스 모델을 따르므로, 컬렉션의 모든 툴은 항상 최신 상태로 유지 되겠지만, 몇몇 프로그램들은 테스트를 거치는 시간때문에 지연될수 있다.
칼리 리눅스는 아주 좋은 문서를 제공하며 크고 활동적인 커뮤니티를 가지고 있다.
Parrot Security
Parrot Security OS는 비교적 새로운 OS 이다. 이 디스트로 개발은 Frozenbox Network 있다.
Parrot Security OS의 대상 사용자는 온라인 익명성과 암호화된 시스템을 갖춘 클라우드 친화적인 환경이 필요한 침투 테스터다.
Photo: Parrot
Parrot Security OS도 데비안을 기반으로 하며 MATE를 데스크톱 환경으로 사용한다. 침투 테스트를 위해 인정된 거의 모든 툴이 여기에서 사용 가능하며, Frozenbox Network의 일부 독점적인 커스텀 툴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롤링 릴리즈로 이용 가능하다.
개인적으로 가장 오래 사용했던 OS 이기도 한 Parrot Security는 Kali 다음으로 유명한 OS 이기도 한데 Kali보다는 프로그램이 조금 더 적지만 사실 그 많은 프로그램을 다 쓸수는 없다.
Parrot 을 오래 쓴 이유는 터미널이 Kali 보다 이쁘다.
이 두 OS에서 제공되는 툴은 전문가들도 참고삼아 서브로 실제로도 사용하고, 그냥해도 성공할 가능성도 높지만,
아무리 유명한 해커도 본인이 직접 짠 스크립으로도 걸리는 마당에 안걸릴수 없으니..
오픈소스로 괜한 장난은 하지 말자… 공부 목적으로 어떻게 실행되고 어떤 프로세스를 거치는 정도로만…
이 외에도 많은 침투관련 OS 도 많지만, 이 두개가 가장 툴이 많고 안정적이다.
Ubuntu Studio
우분투에 기반을 둔 디스트로는 예술작품을 창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인기 있는 리눅스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오디오, 비디오, 비디오, 사진, 그래픽 편집 및 작업을 쉽고 편하게 할 수 있다.
Scientific Linux
Red Hat Enterprise Linux와 Fermi National Accelerator Laboratory와 European Organization for Nuclear Research(CERN)의 협업을 기반으로 한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그 분포는 과학적인 일을 하는 과학자들에게 맞추어져 있다.
Tails
완전한 익명성을 원하는가?
데비안 기반의 라이브 디스트로에는 편집증 환자를 위한 토르, 암호화 및 보안 삭제 도구가 포함되어 있다.
테일즈로 비밀스러운 작업을 하던 중 갑자기 공격자가 들이닥칠 경우, 컴퓨터에서 테일즈 USB를 뽑기만 하면 곧바로 모니터가 까매지고 컴퓨터가 종료된다.
컴퓨터 부품이나 테일즈 USB에 무리(?)가 갈까봐 걱정할 필요는 없다. 테일즈 개발사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종료방법이다.
이 외에도 송신을 위한 리눅스, 스트리밍을 위한 리눅스, 안드로이드 기반을 둔 리눅스, 칩셋 설계 관련 리눅스 등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둔 리눅스는 사실 보는 재미도 없고 쓰고 있는 본인도 재미가 없다..
스트리밍이나 송신 등은 사실 어느정도 능력만 되면 서버로 깔고 작업 할수 있는거고, 안드로이드 기반 리눅스는 한번 사용해봤는데…
엄청난 렉을 동반해서 안하는것만 못했다.
'Te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보안이 윈도우나 맥OS보다 우수한 이유 (0) | 2020.11.26 |
---|---|
파이썬 창시자 귀도 반 로섬, 마이크로소프트 개발 부서에 합류 (0) | 2020.11.24 |
한국 리눅스 하모니카 HamoniKR (0) | 2020.11.21 |
리눅스에 카카오톡을 깔아보자 (0) | 2020.11.20 |
R8169 의 모듈 에러? (0) | 2020.11.20 |